고혈압은 흔히 '침묵의 살인자'로 불립니다. 이는 증상이 거의 없어도 심근경색증, 뇌졸중(뇌경색-뇌출혈), 콩팥병, 시력 손실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혈압은 나이와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젊은 사람들조차도 절대로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고혈압 전 단계라도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며 혈압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이제 고혈압의 기본 개념과 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혈압의 정의와 현황

고혈압은 평균 수축기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 mmHg 이상인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 혈압은 120 mmHg / 80 mmHg 미만으로 정의됩니다.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중 약 28%, 1,230만 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으며, 최근 몇 년 사이에 20~30대 젊은 환자도 크게 증가했습니다. 2022년까지 젊은 층 고혈압 환자는 약 99만 명으로, 5년 새 22%가 증가했습니다.

 

고혈압을 알고 있는 비율은 70%, 치료 중인 비율은 약 66%이며, 치료 목표를 달성하는 비율은 48%에 불과합니다. 특히 젊은 사람들은 고혈압의 위험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진단을 받고도 방치하면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매우 커질 수 있습니다.

 

고혈압의 원인과 증상

고혈압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짜고 기름진 음식 섭취, 흡연, 음주, 운동 부족, 스트레스, 과로, 비만, 유전 요인 등이 주된 원인입니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간혹 두통, 두근거림,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미세혈관에 변화가 생기고, 작은 동맥이나 미세 동맥이 두꺼워지면서 혈관이 좁아집니다. 이로 인해 동맥경화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전이 생겨 심장 혈관이 막히면 심근경색증, 뇌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 뇌경색,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콩팥 혈관의 손상은 신장병을 초래할 수 있으며, 눈 망막의 변화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예방을 위한 건강한 생활습관

 

▶ 식습관 개선

건강한 식습관은 고혈압 예방과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짜고 기름진 음식 섭취를 줄이고, 채소와 과일 위주의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칼로리와 동물성 지방 섭취를 줄이는 동시에 생선, 견과류, 유제품을 적절히 섭취하면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체중 관리와 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루 30분 이상, 5일 이상 유산소 운동을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중 관리는 특히 중요하며,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금연과 절주

담배는 혈관을 수축시키므로 반드시 금연해야 합니다. 또한, 과도한 음주는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음주 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혈압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복식호흡, 명상, 요가 등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실천하여 평소 스트레스를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습관의 변화가 가져오는 효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혈압약 한 가지 정도의 혈압 강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약을 먹고 있는 고혈압 환자에게도 큰 도움이 됩니다.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약물 복용량을 줄이고, 약의 효과를 최대화하여 부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단순히 약물 치료만으로 관리되는 것이 아니며, 장기적인 생활습관 변화가 필요합니다. 적절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금연과 절주, 스트레스 관리 등의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