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인공지능(AI) 기술의 선두주자 엔비디아는 2024 11월부터 2025 1월까지의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의 기대를 초과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딥러닝 기술의 발전과 함께 AI 가속기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는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며 AI 시대의 두각을 더욱더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4분기 주요 실적

엔비디아는 이번 4분기 매출이 393억 달러, 일반회계기준(GAAP) 주당 순이익이 0.89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8% 82%씩 증가한 수치로, 시장 전망치인 매출 380억 달러와 주당 순이익 0.84달러를 각각 상회하였습니다. 이로써 지난 해 엔비디아의 총 매출은 1305억 달러, 주당 순이익은 2.94달러로, 각각 114% 147%의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데이터센터 부문 성장

엔비디아의 탁월한 실적은 데이터센터 부문에서의 수요 급증에 크게 힘입었습니다. 4분기 데이터센터 매출은 356억 달러로, 이는 시장 예측치인 336 5000만 달러를 5.8% 웃도는 수치입니다. 데이터센터 매출이 전체 매출의 91%를 차지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2023 4분기에는 데이터센터 매출 비중이 60%였던 점을 고려하면 큰 성장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신형 AI 칩셋인 블랙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이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 칩셋으로 4분기 매출이 110억 달러에 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AI 추론이 또 다른 확장 법칙을 추가하며 블랙웰에 대한 수요가 놀랍다"고 하며, 블랙웰 AI 슈퍼컴퓨터의 대량 생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존 및 신사업 부문

반면, 기존 주요 사업군인 게이밍 부문은 매출 25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1월 초 신형 칩셋 RTX5000 시리즈가 출시됨에 따라 향후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자동차 및 로봇 분야의 매출은 1년 동안 103% 증가하여 57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문 시각화 부문의 매출(51100만 달러)을 넘어섰으며, 엔비디아의 주력 사업군 중 세 번째로 큰 부문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향후 전망

엔비디아는 2025 1분기 매출이 4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전 분기 대비 약 10%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기저효과로 인해 성장률은 감소할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 4분기 매출과 주당 순이익은 전 분기 대비 각각 12% 14%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시장 우려와 대응

엔비디아의 성장률 감소에 대한 우려는 매출총이익률의 하락에서도 드러납니다. 1년 전 76.0%였던 매출총이익률은 2023 3분기 74.6%, 4분기 73.0%로 줄어들었으며, 2025 1분기에는 70.6%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발전된 기술에도 불구하고 중국 매출은 수출 규제의 영향으로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젠슨 황 CEO는 콘퍼런스콜에서 "4분기 중국 매출은 지난 분기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지만, 수출 규제 이후 중국 매출이 절반가량으로 줄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소식에 힘입어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정규장에서 3.67% 상승 마감했으나, 시간외거래에서는 약보합세를 보였습니다.

 

향후 계획

엔비디아는 하반기에 신형 AI 칩셋인 블랙웰 울트라를 출시할 예정이며, 내년에는 신형 칩셋 '루빈'을 통해 AI 칩셋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고히 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젠슨 황 CEO "블랙웰 생산을 지연시켰던 기술적 문제점은 완전히 해결됐고, 새 제품 출시에 문제는 없다"고 강조하며, AI가 빛의 속도로 발전하고 있음을 상기시켰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