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긍정적 마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주말 추가적인 관세 부과를 예고한 것에 대한 우려가 있었음에도, 2025년 2월 10(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며 마감하였습니다. 이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조업체 주가가 상승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시장의 투자심리가 서서히 회복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지수의 상승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7.01포인트(0.38%) 상승하여 44,470.41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45포인트(0.67%) 상승한 6,066.44,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0.87포인트(0.98%) 오른 19,714.27에 마감하였습니다.

 

철강 및 알루미늄 관련주의 강세

트럼프 대통령은 뉴올리언스로 향하는 전용기인 에어포스원 안에서 기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였습니다. 또한, 상호관세 방침도 11일 또는 12일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관세 예고에 따라,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업종은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클리블랜드-클리프스는 주가가 18% 급등하였고, 뉴코어는 5.6%, US스틸은 4.8% 상승하였습니다. 알루미늄 제조사인 알코아도 2.2% 상승했습니다. 이는 철강업체와 알루미늄 제조업체들이 가격 경쟁력을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반도체 및 기술주 주도의 상승

철강 및 알루미늄 업종이 미 증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반도체 및 대형 기술주는 이날 강세 분위기를 주도하였습니다. 이는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촉발한 충격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입니다.

 

AI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2.9% 상승하였고, 브로드컴은 4.5%,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3.9% 상승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구글의 AI 개발을 주도하는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와 메타 부사장 겸 AI 수석과학자인 얀 르쿤은 딥시크에 대한 과학적 진보가 과장되었다고 인터뷰를 통해 평가하면서, 기술주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전문가의 평가와 시장 전망

JP모건의 파비오 바시 크로스애셋전략 수석은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예고와 딥시크를 둘러싼 시장 변동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그는 투자자 노트를 통해 "딥시크를 둘러싼 변동성과 관세에 대한 우려는 미국 내 위험 자산에 관한 긍정적인 전망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다"라고 분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발표는 일시적으로라도 뉴욕증시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철강 및 알루미늄 제조업체 주가는 급등하면서 시장의 기대를 반영하였고, 반도체 및 기술주도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철강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일부 업종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향후 시장은 트럼프 관세 정책과 함께 다양한 외부 요인들로 인해 변동성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동성을 면밀히 관찰하고, 신중한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상승세를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하면서도,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세우기 위해 추가적인 경제 지표와 정책 변화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