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 우려가 지속되고 있지만, 양국 간 막판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뉴욕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는 주요 지수가 모두 상승하며 무역 전쟁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 상승과 더불어 주요 종목 동향 및 경제 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뉴욕 증시 주요 지수 상승
4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4.13포인트(0.30%) 상승한 44,556.04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0.72% 오른 6,037.88을 기록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35% 상승한 19,654.02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정책 발표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협상 여지가 남아 있다는 점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미·중 무역 전쟁과 관세 부과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일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4일 자정부터 중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기존 관세 외에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중국은 미국산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등에 15%, 원유, 농기계, 자동차 등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며 맞대응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양국 간의 무역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의 통화를 통해 협상의 여지를 남겨두었고, 이는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서도 마약과 불법 이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경 단속 강화 약속을 받아내며 25% 관세 부과를 한 달 유예한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관세 조치가 협상용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고용시장의 냉각
미국 고용시장은 다소 냉각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구인·이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구인 건수는 760만건으로 직전월보다 55만6000건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 이후 석 달 만에 가장 적은 수치이며, 시장 전망치(801만건)에도 크게 미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고용시장 지표는 경제 회복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주요 종목 동향
미국의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회사인 팔란티어는 전일 대비 23.99% 급등했습니다. 이는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 발표에 따른 매수세 유입 때문입니다.
또한, 엔비디아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술주들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엔비디아는 1.71%, 애플은 2.1%, 마이크로소프트는 0.35% 상승했습니다.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도 정규장에서 2.5%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알파벳은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매출이 964억7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이 2.15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였으나, 시장의 기대감은 여전히 긍정적이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 불확실성 속에서 뉴욕증시 상승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 우려 속에서도 뉴욕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기술기업들의 실적 호조와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그러나 고용시장 냉각과 관세 문제 등 불확실성 요소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시장 변동성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뉴욕 증시의 동향과 글로벌 경제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며, 투자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월 6일 뉴욕증시 마감시황(뉴욕증시, 기업 실적 발표에 따른 혼조세) (0) | 2025.02.07 |
---|---|
2025년 2월 5일 뉴욕증시 주요 지수와 종목 동향(뉴욕증시 상승 전환) (1) | 2025.02.06 |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산업계 반응 (0) | 2025.02.03 |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과 미국 기술주에 미친 영향 분석 (0) | 2025.01.30 |
딥시크의 등장과 AI 시장의 변화: 엔비디아 주가 반등과 미국 기술주의 회복 (0) | 2025.01.29 |
최근댓글